고혈압은 증상이 없다. 혈관에는 신경이 없기 때문에 심한 고혈압이 아니면 증상을 느끼지 못하며 병원에 가서야 고혈압을 발견하게 된다.
혈압이 심하게 오르면 머리가 아프고 어지럽고 정신이 혼미하며 손발에 감각이 없고 얼얼하거나 따끔거린다. 또 코피가 나거나 숨이 차기도 한다.
혈압이란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짜낼 때 혈관의 저항을 의미한다. 혈관이 부드럽고 탄력 있으며 혈관벽이 깨끗하여 직경이 크면 저항이 작아 혈압이 낮다. 반대로 혈관이 딱딱하고 혈관벽에 콜레스테롤이 끼어 직경이 작아지면 저항이 커서 혈압이 높다.
심장이 수축하며 혈액을 짜낼 때 혈압이 가장 높으며 이를 '수축압'이라 한다. 반대로 심장이 벌어질 때 혈압이 제일 낮으며 이를 '이완압' 이라고 한다. 정상 혈압은 120(수축압)/80(이완압)이다.
1. 혈압의 구분(단위: mmHg)
• 가장 좋은 혈압 : 120 이하/80 이하
• 정상 혈압 : 130 이하/85 이하
• 정상이지만 높은 혈압 : 130~139/85~89
• 가벼운 고혈압 : 140~159/90~99
• 중급 고혈압 : 160~179/100~109
• 심한 고혈압 : 180 이상/110 이상
고혈압 환자의 80%는 가벼운 고혈압에서 중급 정도의 고혈압으로, 음식과 라이프 스타일을 바꾸면 대부분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 실제로 음식과 라이프 스타일이 고혈압약보다 더 효과적이다.
2. 원인
•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 끼어 동맥경화가 되면 당연히 혈압이 올라간다.
• 음주 과다는 혈당을 높여 유해활성산소(free radical)가 생성되므로 혈관을 상하게 한다.
- 알코올 중독자는 음식을 잘 먹지 않는데다 혈관에 필요한 비타민, 미네랄 소모가 많아 혈관이 상하므로 동맥경화가 된다.
• 비만하면 세포막의 인슐린이 들어가는 문의 열쇠구멍이 지방으로 막혀 인슐린이 열쇠를 열지 못하므로, 혈당이 세포 안으로 들어가지 못해 혈관 내에 혈당이 높아지고 혈관이 상하게 된다. 이 원리는 당뇨와 같다. 단것을 많이 먹어도 혈당이 높아져 혈관벽을 상하게 되며, 섬유질이 부족해도 혈당을 갑자기 올려 혈관이 상하고 동맥경화가 될 수 있다. 비만한 사람은 대개 콜레스테롤이 높고 동맥경화가 있으며, 지방이 혈관을 압박하여 혈압을 더 올린다.
• 신장병이 있어 신장 기능이 제대로 안 되면 몸에 수분이 증가하여 혈압이 올라간다.
• 카페인과 니코틴은 몸을 긴장시키는 호르몬인 아드레날린 호르몬을 분비시켜 혈압을 올린다.
• 배란이 안 되어 황체호르몬이 적고 여성호르몬이 많을 때에도 고혈압이 될 수 있다. 여성호르몬은 소금과 물이 세포 내로 들어가게 하여 수종이 생기게 하고 칼륨(포타슘)과 마그네슘이 손실되게 한다. 그러므로 여성호르몬이 우세하거나 피임약을 먹는 것이 여성 고혈압의 큰 원인이 된다.
- 마그네슘은 '자연의 긴장완화제' 라고 할 정도로 혈관을 확장시키며, 칼륨(포타슘)과 협동으로 세포 내에서 소금(sodium)을 세포 밖으로 배출시킨다.
• 스트레스는 동맥경화를 촉진시키고 마그네슘을 소모시킨다.
3. 자연치료법
1) 고혈압에 나쁜 음식
• 육식과 마가린의 포화지방
• 설탕, 정제된 탄수화물, 가공식품, 가공오일
2) 고혈압에 좋은 음식
- 녹색채소는 칼슘과 마그네슘이 많아 혈압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다.
- 콩과 정제하지 않은 곡식의 섬유질은 콜레스테롤을 낮춘다.
- 브로콜리와 귤 종류는 비타민 C가 많아 혈압을 낮춘다.
- 셀러리를 하루 4줄기씩 먹으면 혈압이 12~14% 내려간다.
- 마늘을 하루 한 쪽씩 1~3달 먹으면 수축이 8~11, 이완압이 5~8 정도 내려간다.
많은 사람들이 혈압을 내리기 위해 소금 섭취를 줄여야 한다는 것은 알면서도 칼륨(포타슘)을 늘려야 하는 것은 알지 못한다. 연구에 의하면 소금만 줄여서는 혈압이 떨어지지 않고 칼륨(포타슘)을 증가시켜야 한다. 칼륨(포타슘)과 소금의 비율은 최소 5:1이 되어야 하는데, 짜게 먹는 사람들 대부분이 1:2로 소금 섭취가 지나치다. 야채와 과일에는 칼륨(포타슘)이 많아 소금과의 비율이 50:1, 많게는 100:1이나 된다. 결과적으로 야채, 과일 섭취가 충분하면 혈압을 내릴 수 있고 부족하면 혈압이 높아진다.
3) 칼륨(포타슘이 많은 음식) (단위:mg)
아보카도(중간크기) 1,360
말린 살구 1/2컵 896
멜론(중간크기) 1개 782
감자(중간크기) 782
리마콩(lina bean) 1/2컵 582
건포도 1/2컵 545
오렌지주스 1컵 496
브로콜리 85g 464
토마토(중간크기) 444
알록달록한 강낭콩(pinto bean) 1/2컵 441
바나나(중간크기) 440
고구마(중간크기) 397
복숭아(중간크기) 308
사과(중간크기) 182
콜리플라워 1/2컵 178
4) 소금이 많은 음식 (단위 : mg)
간장 1숟가락 1,540
치즈(american) 3쪽 1,215
치즈 햄버거 1,209
콘칩 170g 1,060
튀긴 닭다리 2개 792
햄(중간크기) 720
치즈(chedder) 85g 528
참치 85g 384
베이컨 3쪽 303
게(crab) 85g 280
치즈(cottage) 1/4컵 130
물(연수) 1/2컵 100
계란(중간 크기) 70
가자미 85g 65
연어 85g 65
셀러리 1줄기 50
물(경수) 1컵 5
오렌지주스 1컵 2
바나나(중간크기) 1
* 100mg 이하면 소금이 많지 않은 편이다. 대부분의 채소에는 소금이 20mg 이하로 들어 있다. 반면 된장, 고추장에는 소금이 간장만큼이나 많다.
4. 자연치료제
1) 가벼운 고혈압
• 질이 좋은 종합비타민
• 오메가-3오일
• 마그네슘 하루 800~1,200mg
• 비타민C 500~1,000mg씩 하루 3번
• 비타민 E 하루 400~800IU
• 생마늘 하루 한 쪽 이상
2) 중급 고혈압
위의 자연치료제에 다음을 추가한다.
• 코엔자임큐텐 50mg씩 하루 3번
• 산사나무 호손 하루 500~2,000mg
3) 심한 고혈압
즉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고 고혈압약을 복용해야 한다. 위·아래 자연치료제들을 함께 복용하면서 혈압이 점차 내려가면 의사와 상의하여 혈압약 처방약 용량을 조금씩 줄여 간다.
- 깅코(Ginkgo)
고혈압에 가장 먼저 쓰이는 약초 중 하나로, 혈관벽을 이완시켜 혈압을 내리는 작용을 한다. 80~160mg씩 하루 2번 식간공복에 복용한다.
- 마그네슘 (Magnesium)
마그네슘이 많은 경수 우물물을 먹는 지방에서는 혈압이 높은 사람이 거의 없다. 마그네슘은 이뇨제를 복용하는 사람에게 더욱 필요하다. 이뇨제는 마그네슘을 소모시킨다. 레닌(renin: 신장에서 분비하는 혈압을 올리는 효소)으로 인한 고혈압에도 효과적이다. 약 400~1,000mg을 하루 몇 번에 나누어 식사 때 복용한다.
- 비타민 C(Vitamin C)
공해로 인하여 우리 몸에 납의 함량이 높아지면 혈압이 올라가는데, 비타민 C는 납의 배출을 촉진시켜 혈압을 내린다.
- 오메가-3오일(Omega-3 oil)
여러 가지 연구에 의하면 오메가-3 오일은 혈압을 내리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몸에 오메가- - 오메가 3 오일 함량이 1% 높아지면 혈압이 5mmHg씩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3g을 2~3번에 나누어 식후에 복용한다.
- 칼슘(Calcium)
연구에서 노인 고혈압 환자에게 칼슘을 하루 1,000mg씩 복용한 결과, 하루 평균혈압이 수축압은 13.6mmHg, 이완압은 5mmHg씩 내려갔다.
- 코엔자임큐텐(Coenzyme Q10; CoQ10)
연구에 의하면 고혈압 환자의 혈압을 10%가량 낮추어 주었다. 이러한 작용은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항산화작용으로 혈관을 건실하게 하여 혈관저항을 낮춘 결과로 분석되었다. 4~12주가량 복용해야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100mg씩 하루 1~2번.
- 황체호르몬크림(Progesterone cream)
여성호르몬은 소금과 물이 세포 내로 들어가게 하여 수종이 생기게 하고 칼륨(포타슘)과 마그네슘이 손실되게 한다. 세포 내의 수종은 이뇨제를 써도 수분이 빠지지 않으나, 황체호르몬크림을 바르면 수종이 빠지고 혈압이 내려간다.
- 호손(Hawthorne)
유럽 의사들이 많이 사용하는 산사나무로, 혈압을 낮추고 심장 기능을 좋게 하여 부정맥을 없애 준다. 복용 2~4주 후부터 효과가 나타
나기 시작한다. 하루 1,000~2,000mg을 몇 번에 나누어 식간공복에 복용한다. (이경원 / 『우리집 주치의』 / 동아일보사). 끝.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이 되살아나는 장습관 8 – 건강한 장을 위한 Q&A (0) | 2022.05.03 |
---|---|
우리집 주치의 2 - 골다공증(Osteoporosis) (0) | 2022.05.02 |
슈퍼유산균의 힘 12 - 슈퍼유산균이 교통체증 없는 원활한 몸을 만든다 (0) | 2022.05.02 |
몸이 되살아나는 장습관 6 - 다이어트에 실패하는 이유(뚱보균) (0) | 2022.05.02 |
슈퍼유산균의 힘 10 - 갑상선 질환, 결핵 (0) | 2022.05.01 |